본문 바로가기

종목 분석

반응형
(45)
LG화학이 그리는 전지사업부문 분사 로드맵과 국민연금의 반대 국민연금이 LG화학의 전지사업부문 물적분할에 반대 입장을 발표하였습니다. 당초 무난하게 분사가 이뤄질 것으로 보였던 LG화학의 LG에너지솔루션(가칭) 분사 계획은 국민연금의 이 같은 결정으로 큰 차질이 생겼으며 LG화학은 전지사업부문 분사 계획을 수립하기 이전에 당장에 다가오는 30일 주총에서의 표 대결부터 신경 써야 하는 상황에 맞닥뜨렸는데요. 자연스레 다가오는 30일 주총에서 어떤 결정이 내려질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국민연금이 이 같은 결정을 내린 배경과 LG화학이 LG에너지솔루션 분사를 추진하려 하는 이유 향후 전망에 대해서 정리해 볼까 합니다. 제일 처음 LG화학의 전지사업부문 분사 이슈가 나온 것은 지난 16일(9월 16일) LG화학에서 점점 커지는 전기차 배터리 시..
이건희 회장의 별세 소식으로 인한 삼성 주가 분석 현재 이건희 회장이 보유한 주식으로는 삼성전자 주식이 2억 4927만 3200주(지분율 4.18%) 금액으로는 15조원 정도이며 삼성생명 4141만 9180주(지분율 20.76%) 2조 6천억원, 삼성물산 542만 5733주(지분율 2.88%) 5,600억원 정도입니다. 그 외에도 몇몇 삼성 계열사에 지분을 갖고 있지만 유의미한 규모는 아니라고 평가되고 있습니다. 이건희 회장의 현재 추정 재산은 18조원~20조원 정도로 평가되고 있는데 이 경우 상속세 최고 구간인 50% 세율에 최대주주이거나 최대주주의 특수 관계인 10%가 할증돼 60%의 세금이 부과될 예정이며 추정 세금으로는 10조원 정도가 되는데요. 일반적인 경우 이건희 회장의 재산은 4.5 대 1.5의 비율로 아내인 홍라희 리움 관장이 4.5 대 ..
우려가 현실이 된 엔터주 대폭락 앞으로의 과제는 오늘 상장된 빅히트엔터테인먼트가 첫날 따상 후 폭락하였습니다. 특히 빅히트의 주가가 충격적이었던 것은 올해의 IPO 대어들 중 가장 저조한 실적이며 그 하락세도 가장 가팔랐다는 것인데 공모가의 2배인 270,000원에 시작한 빅히트 주식은 장 초반 상한가인 351,000원까지 치솟았다 한 시간도 지나지 않은 10시경 10% 이상이 빠지며 30만원 초반으로 떨어졌습니다. 그리고는 이후에도 지속적인 하락을 하다 결국 종가는 시가 대비 12,000원이 빠진 258,000원으로 마감하였습니다. 빅히트의 부진으로 엔터주는 연쇄 급락을 경험했는데요. 와이지엔터테인먼트 -6.75%, JYP Ent. -5.29%, 에스엠 -6.73%를 기록했으며 빅히트 관련주로 불리며 가장 핫했던 엔터주인 초록뱀은 -16.01%까지 ..
빅히트엔터테인먼트 상장 후 주가 전망 올해의 마지막 IPO 최대어 빅히트엔터테인먼트 공모주 청약이 끝났습니다. 전체 일정을 정리해보면 청약 일정이 10월 5일~10월 6일이었고 10월 8일 주식이 배정된 후 10월 15일 본격 상장되기로 돼 있습니다. 최종 공모가액은 135,000원 수량은 7,130,000주로 9,625억 규모로 진행하였는데 첫날 예상 밖의 흥행 실패로 증거금이 10조원을 밑돌았다가 마지막 날 생각보다 낮은 경쟁률에 투자심리가 몰려 최종 58조원의 증거금을 모으는데 성공했습니다. 올해의 IPO 대어 중 하나인 SK바이오팜 30조원보다는 많으며 카카오게임즈 60조원보다 적은 수치로 기존 예상치보다는 적은 증거금이 모였으나 그 금액만큼은 절대 적지 않은 금액입니다. 이미 청약도 끝났고 대형 공모주의 경우 개인투자자가 청약에 참..
이주의 핫한 종목인 두산퓨얼셀을 분석해 봅시다 이주의 핫한 종목 두산퓨얼셀 분석입니다. 두산퓨얼셀은 10월 5일 장 종 료후 깜짝 블록딜을 발표했습니다. 이로인해 10월 6일 주가가 13% 대폭락했는데요. 이때까지만 하더라도 주주들은 오너가 주주들을 배신했다며 이 블록딜을 부정적 시각으로 보는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그런데 10월 7일, 10월 8일 주가가 다시 상승해 현재는 블록딜 발표 전 주가로 거의 회복한 상황이죠. 이러한 주가 변화에 대해 얘기해보기 앞서 블록딜의 개념부터 보면 주식을 대량으로 보유한 자가 사전에 매도 물량을 인수할 매수자를 구해 시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장이 끝난 이후 지분을 넘기는 거래를 말합니다. 보통 블록딜의 매수자로 나서는 증권사, 기관은 대량으로 주식을 거래하는 대신 할인된 가격으로 거래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죠. ..
[삼성그룹 분석_16]삼성그룹 내 유일한 코스닥 상장기업 멀티캠퍼스에 대해서 멀티캠퍼스는 2019년 기준 매출 2,880억원 영업이익 242억원을 기록했으며 2020년 9월 24일 기준 1,650억원의 시가총액과 4.21%의 외국인 소진율을 갖고 있는 상태입니다. 대주주 지분을 살펴보면 삼성sds(47.24%), 삼성경제연구소(15.16%)을 비롯한 삼성가에서 62.46%의 지분을 갖고 있으며 국민연금이 1.4% 정도의 주식을 갖고 있는 상태입니다. 멀티캠퍼스는 2000년 설립된 기업으로 교육 콘텐츠 개발과 HRD(인적 자원 개발 Human Resources Development), BPO(비지니스 프로세스 아웃소싱 Business Process Outsourcing)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입니다. 주요 교육 대상은 삼성그룹 임직원으로 삼성전자, 삼성경제연구소, 삼성에스디에스 등 ..
[삼성그룹 분석_15]대한민국 보안 1위 업체 에스원에 대해서 에스원은 2019년 기준 매출 2조 1천억원 영업이익 1,900억원을 기록했으며 2020년 9월 24일 기준 3조 2천억원의 시가총액과 55.78%의 외국인 소진율을 갖고 있는 상태입니다. 대주주 지분을 살펴보면 삼성sdi(11.03%), 삼성생명보험(5.34%), 삼성카드(1.91%)를 비롯한 삼성가에서 20.6%의 지분을 갖고 있으며 국민연금이 6.9% 정도의 주식을 갖고 있는 상태입니다. 에스원은 1977년 한국경비실업에서 시작된 기업으로 경비 및 경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입니다. 종합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에스원은 삼성 계열사 내 매출 비중이 전체 매출 중 30%가 약간 넘으며 삼성전자가 계열사 내 매출 중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에스원은 국내 1위 보안업체답게 단순 경비업무만 하는 ..
[삼성그룹 분석_14]삼성의 투자 계열사 삼성증권에 대해서 삼성증권은 2019년 기준 매출 6조 6천억원 영업이익 5천억원을 기록했으며 2020년 9월 23일 기준 2조 7천억원의 시가총액과 24.82%의 외국인 소진율을 갖고 있는 상태입니다. 대주주 지분을 살펴보면 삼성생명(29.53%), 삼성문화재단(0.22%)를 비롯한 삼성가에서 29.8%의 지분을 갖고 있으며 국민연금이 12% 정도의 주식을 갖고 있는 상태입니다. 삼성증권은 1982년 한일투자금융이라는 이름으로 설립된 후 1992년 삼성그룹으로 편입되는 과정에서 상호를 삼성증권으로 바꾸고 지금까지 삼성그룹의 일원으로 함께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풍부한 해외 네트워크와 고객 맞춤 서비스인 PB(Private Banking)시스템이 잘 갖춰져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삼성증권은 IPO(Initial Publ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