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가장 뜨거운 수소 관련 종목 정리&주가 평가
현재 가장 뜨거운 테마주로 손꼽히는 수소차 테마주들 뉴딜 정책에 힘입어 최근까지도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데요. 가끔가다 급등 후 급락을 겪기도 하지만 아직까지는 성장세가 굳건하다는 의견이 많은 테마인 수소차 테마주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대장주들의 주가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수소차 테마주들에는 뭐가 있을까?
일단 수소차 테마주에는 기존 자동차 부품 업체들이 상당수 포함돼 있습니다. 물론 기존 자동차 부품 업체라고 해서 모두 수소차 테마주라고 할 수는 없고 수소차에 최적화된 부품을 공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업체들만 수소차 테마주로 분류되는데 현재 수소차 테마주로 분류돼 있는 기업은 아래와 같습니다.
EG / S&T모티브 / STX중공업 / 국일제지 /글로벌에스엠 / 기아차 / 뉴인텍 / 대우부품 / 대원강업 / 동아화성 / 동양피스톤 / 두산퓨얼셀 / 디아이티 / 디와이 / 디케이락 / 모토닉 / 미코 / 비나텍 / 삼기오토모티브 / 삼보모터스 / 삼양사 / 삼화전자 / 성창오토텍 / 세원 / 세종공업 / 시노펙스 / 신도기연 / 에스에너지 / 에스퓨얼셀 / 에코바이오 / 엔케이 / 엘티씨 / 우리산업 / 우수AMS / 원익머트리얼즈 / 유니크 / 이엠코리아 / 인지컨트롤스 / 일지테크 / 일진다이아 / 제이엔케이히터 / 지엠비코리아 / 코오롱머티리얼 / 코오롱인더 / 코웰패션 / 평화산업 / 평화홀딩스 / 풍국주정 / 한온시스템 / 한화솔루션 / 현대모비스 / 현대제철 / 현대차 / 효성중공업 / 효성첨단소재
수소 테마 종목들의 주가 비교
완성차 업체인 현대차와 기아차도 수소차 테마주로 분류돼 있으며 최근 급등한 한국가스공사도 수소 테마로 올랐다고 하는데 이러한 기업들은 기존 사업의 비중이 높아 수소 열풍으로 인한 주가 타당성을 비교하는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그래서 비교적 직접적인 수소 테마를 타고 주가가 오른 그리고 비슷한 재료를 갖고 있는 회사들을 뽑아 비교하였습니다.
두산퓨얼셀
두산퓨얼셀은 수소차 대장주로 분류될 정도로 유명한 기업입니다. 두산퓨얼셀은 LPG, 수소 등 다양한 연료를 활용해 전지를 제작하는 업체로 현재 국내 연료전지 시장점유율 1위를 기록할 정도로 시장 입지가 굳건하다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두산퓨얼셀은 2019년 10월 분사된 기업으로 2019년 매출 2,200억원, 영업이익 195억원을 기록했고 2020년 추정 매출이 4,900억원 영업이익 300억원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현재 시가총액은 2조 6천억원인 상황입니다.
에스퓨얼셀
에스퓨얼셀도 발전용 수소연료전지를 만드는 업체입니다. 주로 1kW, 5kW, 6kW, 10kW 같은 건물용 연료전지와 100kW 발전용 연료전지를 만드는 기업입니다. 에스퓨얼셀은 수소차용 연료전지시장에서 부각된 기업은 아니나 수소연료전지 관련 연구개발 경험과 생산기술을 확보하고 있어 수소차 시장에 직접적인 수혜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에스퓨얼셀의 매출은 2019년 380억원 영업이익도 22억을 기록하였으며 2020년 추정 매출은 500억이 넘는 상황이며 영업이익도 50억을 넘지 않을까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현재 시가총액은 2,400억인 상황입니다.
일진다이아
일진다이아는 공업용 다이아를 생산하는 업체입니다. 직접적으로 일진다이아는 수소차와 관련이 없지만 일진다이아의 자회사인 일진복합소재에서 수소탱크를 만들어 수소차 관련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특히 일진다이아는 수소탱크 제품을 현대차에 독점 납품하고 있어 상당히 고평가 된 종목으로 일진다이아 매출은 2019년 1,600억원 영업이익 132억을 기록했습니다. 그리고 현재 시가총액은 7,600억원인 상황입니다.
효성첨단소재
효성첨단소재는 PU, 탄소재료 등 첨단소재를 생산하는 업체로 수소차 연료 탱크에 탄소섬유를 공급하는 기업입니다. 효성첨단소재에서 생산하는 탄소섬유도 일진다이아의 수소탱크처럼 국내에서는 대체가 힘들어 사실상 독점 공급을 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합니다. 다만 효성첨단소재는 수소차용 탄소섬유 외에도 다양한 첨단소재를 생산하고 있어 전체 매출은 2019년 3조원에서 올해 많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매출 이익도 2019년 1,500억원에서 올해 150억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시가총액은 6,200억인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