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목 분석/핫한 종목 분석

이건희 회장의 별세 소식으로 인한 삼성 주가 분석

현재 이건희 회장이 보유한 주식으로는 삼성전자 주식이 2억 4927만 3200주(지분율 4.18%) 금액으로는 15조원 정도이며 삼성생명 4141만 9180주(지분율 20.76%) 2조 6천억원, 삼성물산 542만 5733주(지분율 2.88%) 5,600억원 정도입니다. 그 외에도 몇몇 삼성 계열사에 지분을 갖고 있지만 유의미한 규모는 아니라고 평가되고 있습니다.

 

이건희 회장의 현재 추정 재산은 18조원~20조원 정도로 평가되고 있는데 이 경우 상속세 최고 구간인 50% 세율에 최대주주이거나 최대주주의 특수 관계인 10%가 할증돼 60%의 세금이 부과될 예정이며 추정 세금으로는 10조원 정도가 되는데요.

 

일반적인 경우 이건희 회장의 재산은 4.5 대 1.5의 비율로 아내인 홍라희 리움 관장이 4.5 대 1의 비율로 이재용 삼성 부회장이부진 호텔신라 대표,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이 받게 돼 있습니다. 현실적으로는 이건희 회장의 유언대로 나눠질 가능성이 크며 삼성 경영에 유리한 방향으로 상속이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는데요. 그렇게 된다면 높은 확률로 이재용 삼성 부회장이 가장 많은 상속을 받지 않을까 생각되며 그다음으로 이부진 호텔신라 대표,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당연히 이 셋이 상속세인 10조원을 마련해야겠죠.

 

 

사실 우리가 가장 궁금한 것이 바로 이겁니다. 상속세인 10조원을 어떻게 마련할 것인가가 주가에 큰 영향을 미칠 건데요. 이런 경우 흔히 나오는 얘기중 하나가 주가를 억제해서 상속세를 낮추려 하지 않을까 하는 얘기가 있습니다. 하지만 삼성전자의 경우 이미 시총이 300~400조원 규모로 아무리 대주주라고 하더라도 주가를 쉽게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아닌 상황입니다.

 

상속세를 납부하기 위해서 자산을 매각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자산으로 주식을 매각할 수도 있을 텐데 그렇게 된다면 주가가 떨어질 수도 있겠죠. 보통의 경우 상속세를 내기 위해 지분을 내놓는 경우는 많지 않지만 삼성의 경우 그 규모가 너무 커 지분을 내놓을 수도 있어 보입니다. 물론 시장에 바로 내놓을 가능성은 커 보이진 않지만 상속세 마련이 힘들게 되면 우호세력에 지분을 블록딜로 넘길 가능성도 있을 것 같습니다. 

삼성의 경우 이건희 회장이 생전 경영권 분리를 충분히 해둬 경영권 갈등은 없을 것으로 보이며 대주주 지분이 안정적이라고 할 순 없지만 그렇다고 외부 세력이 경영권을 확보하기 위해 뛰어들 가능성도 그렇게 크진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삼성물산과 삼성생명의 경우 주가 변동이 생각보다 클 수도 있으나 삼성전자의 경우에는 규모가 워낙 커 주가 변동이 아예 없을 수도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주식 지분을 담보로 출을 받을 가능성도 적지 않은 상황이며 항간에서는 상속세를 내기 위해서라도 배당을 높여 비용을 충당하지는 않을까 하는 얘기도 있다고 하네요.

 

 

 

선대 회장의 타계의 경우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경영권에 대한 이슈로 인한 단기적 주가 상승이 있는 경우가 많은데요. 워낙 그 규모가 큰 삼성이다 보니 주가의 흐름이 어떻게 변할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