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돈 되는 경제 상식

인적분할과 물적분할 핵심 차이점과 장단점 정리

기업은 규모가 커지거나 기업 구조를 개편하기 위해서 회사를 분할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 기업을 분할하는 방법에는 인적분할 방식과 물적분할 방식 두 가지가 있는데 인적분할 방식은 분할되어 설립되는 회사의 지분구조가 분할되는 회사와 동일한 지분구조를 가지는 방식이며 물적분할의 경우에는 분할되어 설립되는 회사의 지분을 모두 분할되는 회사에서 가지는 방식을 말합니다.

한마디로 기업이 분할될 때 인적분할을 하게 되면 기존 주주들은 새로 생기는 기업의 지분을 동일한 비율로 가질 수 있지만 물적분할을 하게 되면 새로 생기는 기업의 지분을 단 한주도 가질 수 없는 것이죠.

 

<LG화학을 통해 보는 인적분할/물적분할 후 지분 변화>

 

 

 

그렇다면 기업은 인적분할을 하고 싶을까요? 물적분할을 하고 싶을까요?

당연히 물적분할이 더 유리해 보이지만 상황에 따라 꼭 물적분할을 선택하지는 않습니다. 일단 기업이 어떤 선택을 할지를 알기 위해서 인적분할과 물적분할의 장점에 대해서 좀 알 필요가 있는데 우선 물적분할을 하게 되면 자연스레 기존 기업은 신설되는 기업의 지분을 100% 보유한 모기업이 되고 이는 향후 상장 및 증자를 통한 자본 확보에 유리하게 됩니다. 그래서 신설 기업을 통해 투자금을 모으고 관련 사업의 우위를 점하기 위할 때 물적분할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고 향후 상장과 증자를 통해 투자금을 확보하는 행위를 많이 보입니다.

 

물론 물적분할에도 단점이 존재하는데 우선 주주 가치가 훼손될 우려가 있어 주주들의 찬성을 이끌어 내는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그리고 분할 후에도 자회사의 경영에 모기업이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어 모기업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만한 결정을 하는데 어려움이 많을 수밖에 없습니다.

 


최근 물적분할을 결정한 기업으로는 LG화학이 있는데 LG화학은 LG화학의 알짜 사업부인 전지사업부에 대한 물적분할을 발표하였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번 결정을 보고 물적분할을 통한 향후 배터리 사업에 필요한 자금 확보와 분할 후 LG화학의 주가가 폭락할 것도 염두에 둔 선택으로 보인다는 평가를 많이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반면 단점만 존재할 거 같은 인적분할에도 장점이 있는데 우선 주주들의 동의를 이끌어 내기 쉬우며 분할 후 회사 간 관계는 모회사 자회사 관계가 아닌 똑같은 지분을 가진 별도의 회사로 나눠지는 것이기 때문에 분할된 회사의 경영이 더 원활할 수 있습니다. 

두산이 그 경우인데 두산의 경우 두산솔루스와 두산퓨얼셀을 인적분할하였고 분할 후 두산솔루스와 두산퓨얼셀의 지분을 일부 매각하고 일부 지분은 두산중공업으로 돌려 기업의 재무구조를 성공적으로 개선하였습니다. 만약 물적분할을 하였다면 분할된 회사의 지분을 이렇게 자유롭게 처분하기가 쉽지 않을 수 있는 것이죠. 

 

물론 인적분할에는 많은 단점이 있는데 우선은 인적분할을 하게 되면 나뉘는 사업의 분야에 따라 주가가 급락할 수도 있습니다. LG화학의 경우 만약 인적분할이 되었다면 배터리에 투자한 투자자들 입장에서는 더 이상 LG화학의 주식을 갖고 있을 필요가 없고 그렇게 된다면 LG화학의 주가가 폭락할 수도 있는 문제가 있습니다. 그리고 신설되는 회사를 통한 증자나 상장 과정에서 지분율이 낮아져 경영권 확보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도 크게 되죠.

정리해보면 공통적으로는 기업 분할을 통한 회사 가치 재고가 목적이겠지만 분할을 통한 자금을 투자금으로 기업에 투자하는 경우 물적분할을 지분 처분을 통한 회사 구조 재편의 경우에는 인적분할을 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보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