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배값 인상 논란은 27일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향후 10년 ‘국민건강증진 종합계획’을 발표하면서였습니다.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국민건강증진 종합계획’에 따르면 2018년 성인 남녀 흡연율은 36.7%, 7,5%로 2030년까지 25.0%, 4.0%로 떨어뜨리는 목표를 갖고 있다고 발표했는데요. 그러기 위한 방법으로 현재 4,500원 수준인 담뱃값을 10년 내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수준으로 맞추겠다는 취지의 계획을 발표하는데 OECD 평균 담배가격이 현재 7.4달러 정도로 한화로 따지면 8,000원~8,500원이 돼 이번 발표가 담배값 인상에 대한 발표라는 기사가 쏟아지게 된 것입니다.
하지만 여론이 악화되자 정부는 28일 발표를 통해 담배가격 인상과 술(‘국민건강증진 종합계획’에 따르면 술에 대한 건강증진부담금을 올리는 내용도 담겨 있었습니다)에 대한 건강증진부담금을 부과하는 것에 대해서 “현재 고려하고 있지 않는 상황이며, 추진계획도 존재하지 않다”라고 반박하는데요.
정확히 담배값 인상은 없다고 못 박기 보다는 “담뱃값 인상폭 및 인상시기는 구체적으로 정해진바 없다”라는 애매한 표현을 사용하였습니다. 추가로 술에 대한 부분에 대해서도 “술에 대한 건강증진부담금 부과는 우선은 해외에서 건강 위해 품목에 대해 건강증진부담금을 부과하는지 여부와 건강증진부담금 부과의 영향 등에 대한 연구를 선행하고, 이를 토대로 사회적 논의 및 의견 수렴 등을 가질 계획”이라는 표현을 써 종합적으로 살펴봤을 때 당장의 담배와 술값 인상에 대한 계획은 없으며 구체적인 시기도 말할 수는 없지만 그래도 필요성에 대해서는 여지를 남겨둔 것으로 보이는데요. 아무래도 점진적인 인상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다면 담배값이 인상되면 국내 담배 시장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KT&G의 주가는 어떻게 바뀔까요?
일단 과거의 사례를 바탕으로 보면 가장 담배가격이 급격히 상승한 2015년 전후로 매출이나 영업이익에 대한 부분의 차이는 크지 않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사재기로 반짝 매출 증진이 있었던 2014년과 인상 후 일시적인 실적 하락이 있었던 2015년 매출도 전혀 차이가 없었으며 영업이익은 2015년 이후 크게 개선된 것을 볼 수 있는데요.
흡연율 감소 폭도 기존 기대치보다 높지 않았는데요. 담배값이 인상되던 당시 금연 계획을 세우는 사람이 많았지만 금세 흡연율은 예년치로 회복됐으면 이후 완만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지만 실적에 큰 타격이 있는 정도는 아니었습니다.
주가는 담배값 인상안 계획이 발표되고 꾸준히 상승하다 담배값 인상폭이 예상 밖으로 너무 크자 폭락하였습니다. 이후 실제 담배가격이 올랐던 2015년 1월 1일 이후 또 한차례 폭락을 겪었고 이후 실적에 큰 타격이 없다는 발표가 나오자 꾸준히 상승해 역대 최고치를 갈아치우기도 했습니다.
일반적으로 담배값이 인상되는 경우 세금 인상 폭을 정한 후 소비자 가격 상승분을 결정하고 순매출 단가도 여기에 맞춰 조정하기 때문에 담배가격이 올라간 상황에서 판매량이 유지된다면 매출 상승은 물론 영업이익의 개선도 이룰 수 있습니다. 실제 가장 높은 수준의 담배값 인상이 발표됐던 2015년 유통마진 및 원가는 935원에서 1182원으로 상승했습니다.
갈수록 세금이 올라가면서 담배가격에서 유통마진이 차지하는 비중이 낮아지는 점이나 국민 인식의 변화로 흡연율이 완만한 감소세를 보이는 것은 주가에 부정적인 요소이나 담배가격의 인상이 흡연율을 급격히 떨어뜨리지 않았다는 것이 기존의 사례를 통해 어느 정도 증명됐으며 담배값 인상으로 담배 한 값 당 유통마진이 개선될 수 있어 긍정적인 요소도 있다고 분석됩니다.
정리해보면 담배, 홍삼 등 국가에서 어느 정도 마진을 보존해 주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KT&G의 특성상 정부 정책에 인한 실적의 급격한 변화는 없을 것으로 예상되며 과거 사례를 봤을 때 담배값 인상은 KT&G의 실적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지속적인 가격 인상과 금연 권고 등으로 흡연율이 완만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만큼 이번 발표가 일방적인 호재나 악재로 작용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되네요.
KT&G는 사업의 특성상 가격과 유통마진 등을 정부에서 보존해 주기 때문에 실적에 악영향이 갈만한 결정이 나오진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만약 이번 인상 계획으로 흡연율이 급감하게 된다면 모르겠지만 그동안의 상황을 봐서는 그럴 가능성은 크지 않아 보여 이번 소식이 뚜렷한 호재나 악재로 보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만약 인상폭이 작고 장기적으로 계획하게 되면 실적은 오히려 개선될 여지가 있어 보입니다.
'종목 분석 > 핫한 종목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지주는 더 날아갈까? 제지주 투자 시 유의해야 할 점과 종목 정리 (0) | 2021.02.03 |
---|---|
엘앤에프, LG에너지솔루션 1조원대 공급계약의 배경이 된 LG-GS 가문의 인연 (1) | 2020.12.17 |
씨젠의 몰락 회생 가능성은 있을까? (0) | 2020.11.29 |
GS리테일과 GS홈쇼핑 합병 이슈 정리, 주가 흐름은? (0) | 2020.11.11 |
LG화학이 그리는 전지사업부문 분사 로드맵과 국민연금의 반대 (0) | 2020.10.29 |